동관 오디오 투어
스마트폰을 통해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 큐레이터의 목소리로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원하시는 순서와 속도로 원하시는 만큼 많은 작품들의 설명을 들으며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품에 대한 정보를 들으시려면 아래 상자에 위치 번호를 입력하신 후 이동을 선택하고 위치에 왔을 때 재생 버튼을 누르십시오. 오디어 투어를 하시는 중에 다른 관람객을 생각하시어 헤드폰을 이용해 주십시오.
This tour is available in English.
19 stops
-
Audio Tour Stop 4
Still Life: Le Jour, Georges Braque
NGA, East Building, EG-103-B, N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는 파블로 피카소와 함께 1910년경 입체파라는 새로운 양식을 창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회화는 후에 브라크가 입체파 양식을 정물 및 기타 주제를 표현하는 데 적용했던 전형적인 후기 작품입니다. 이 작품에서 탁자의 나뭇결, 배경의 벽지 디자인, 신문지의 활자는 패턴과 질감의 상호 작용을 강조합니다.
Still Life: Le Jour (Korean) -
Audio Tour Stop 5
Head of a Woman, Amedeo Modigliani
NGA, East Building, EG-103-A, E
이 조각품은 아메데오 모딜리아니(Amedeo Modigliani)가 많은 회화에서 길쭉한 얼굴과 아몬드형 눈으로 인물을 표현한 그의 독특한 인물화 양식을 반영합니다. 모딜리아니는 1909년부터 1914년까지 조각에 집중했으며, 1920년 35세에 결핵으로 사망했습니다.
Head of a Woman (Korean) -
Audio Tour Stop 6
New York, George Bellows
NGA, East Building, EG-106-B, W
1911년 2월에 완성된 뉴욕은 조지 벨로스(George Bellows)가 뉴욕시의 근대 생활상을 묘사한 야심찬 회화 대작입니다. 벨로스는 뉴욕시의 구체적이고 식별 가능한 장소를 나타내려고 의도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는 번화한 상업 지구 몇 곳을 중심으로 도시의 부산한 분위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극도로 번잡한 이미지를 상상하여 그렸습니다.
New York (Korean) -
Audio Tour Stop 7
Ground Swell, Edward Hopper
NGA, West Building, G-006, N
1911년 2월에 완성된 뉴욕은 조지 벨로스(George Bellows)가 뉴욕시의 근대 생활상을 묘사한 야심찬 회화 대작입니다. 벨로스는 뉴욕시의 구체적이고 식별 가능한 장소를 나타내려고 의도하지 않았습니다. 대신, 그는 번화한 상업 지구 몇 곳을 중심으로 도시의 부산한 분위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극도로 번잡한 이미지를 상상하여 그렸습니다.
Ground Swell (Korean) -
Audio Tour Stop 9
The Judgment Day, Aaron Douglas
1927년 할렘 르네상스의 핵심 인물인 제임스 웰든 존슨(James Weldon Johnson)은 그의 대표작 신의 트롬본: 흑인 설교 시 7편(God’s Trombones: Seven Negro Sermons in Verse)을 출판했습니다. 각 설교 시에는 당시 할렘에 정착한 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술 작가 아론 더글러스(Aaron Douglas)의 삽화가 수록되었습니다. 몇 년 후, 더글라스는 삽화를 대형 유화로 번안하여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최후 심판의 날(The Judgment Day)은 8연작 중 마지막 작품입니다. 중앙에는 강한 천사 가브리엘이 지구와 바다를 딛고 서 있습니다. 대천사는 나팔을 불어 지구의 국가들을 소환하여 심판합니다.
The Judgment Day (Korean) -
Audio Tour Stop 11
Family of Saltimbanques, Pablo Picasso
NGA, East Building, EM-217-C, E
1927년 할렘 르네상스의 핵심 인물인 제임스 웰든 존슨(James Weldon Johnson)은 그의 대표작 신의 트롬본: 흑인 설교 시 7편(God’s Trombones: Seven Negro Sermons in Verse)을 출판했습니다. 각 설교 시에는 당시 할렘에 정착한 젊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미술 작가 아론 더글러스(Aaron Douglas)의 삽화가 수록되었습니다. 몇 년 후, 더글라스는 삽화를 대형 유화로 번안하여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최후 심판의 날(The Judgment Day)은 8연작 중 마지막 작품입니다. 중앙에는 강한 천사 가브리엘이 지구와 바다를 딛고 서 있습니다. 대천사는 나팔을 불어 지구의 국가들을 소환하여 심판합니다.
Family of Saltimbanques (Korean) -
Audio Tour Stop 13
Open Window, Collioure, Henri Matisse
NGA, East Building, EM-217-B, E
오늘날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작 콜리우르의 열린 창(Open Window, Collioure)은 부드럽고 서정적인 회화로 보일 수 있지만 작품 발표 당시에는 두터운 붓질과 강렬한 색상이 폭력적인 양식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작은 화폭이지만 폭발적인 작품인 이 초기 모더니즘의 아이콘은 야수파의 가장 중요한 회화 중 하나로 유명합니다. 야수파 미술 작가들은 자연 외관의 엄격한 재현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색상과 질감을 추구했습니다. 콜리우르의 열린 창은 마티스의 예술 세계에서 새로운 양식의 시작을 나타냅니다.
Open Window, Collioure (Korean) -
Audio Tour Stop 14
Two Girls under an Umbrella, Ernst Ludwig Kirchner
NGA, East Building, EM-217-A, S
이 작품은 1905년 드레스덴에서 표현주의 그룹 다리파(Die Brücke)의 창립 멤버이자 많은 작품을 남긴 에른스트 루드비히 키르히너(Ernst Ludwig Kirchner)의 초기작입니다. 이 회화에서 키르히너는 아카데믹 회화의 인위적인 공간이 아닌 자연을 배경으로 나체 여인 두 명을 묘사했습니다. 이 작품에서 화가는 대담하고 투박한 형태와 강렬한 색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Two Girls under an Umbrella (Korean) -
Improvisation 31 (Sea Battle) (Korean) -
Audio Tour Stop 16
No More Play, Alberto Giacometti
NGA, East Building, EU-415-B, CENTER
위대한 초현실주의 조각가 중 한 명인 알베르토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는 이 조각품과 같은 초기작에서 게임과 놀이의 테마를 통합할 때가 많았습니다. 자코메티가 이 작품에서 사용한 형태는 움직일 수 있는 조각으로 구성된 보드 게임과 비슷해 보이지만 무슨 게임인지는 불분명합니다. 노 모어 플레이(No More Play)에 표현된 “게임”의 모호한 공간과 알 수 없는 규칙은 꿈에서나 볼 수 있는 사물처럼 느껴집니다.
No More Play (Korean) -
Audio Tour Stop 17
Fresh Widow, Marcel Duchamp
NGA, East Building, EU-415-B, CENTER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은 회화와 조각에 대한 전통적인 방식과 기본적인 가정을 거부했습니다. 값싸고 쉬운 미국식 복제 아이디어에 매료된 뒤샹은 뉴욕에 살면서 의류 산업에서 차용한 용어인 기성품, 즉 레디메이드에 적합한 발견된 오브제로 작품을 제작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전시회에서 때때로 이러한 평범한 사물을 있는 그대로 자신의 서명만 추가하여 전시함으로써 미술계에 충격을 주었습니다. 이 작품의 제목은 프랑스식(French) 및 창(Window)이라는 단어에서 문자 n을 생략하고 조성한 펀(pun), 말장난으로 파리 아파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중 창과 제1차 세계대전으로 남편을 잃고 최근 미망인이 된 여성을 지칭한 것입니다. 뒤샹은 이 미니 창문을 직접 제작하지 않고 미국인 목수에게 디자인을 위탁했습니다.
Fresh Widow (Korean) -
Audio Tour Stop 18
Bird in Space, Constantin Brâncuși
NGA, East Building, EU-415-C, CENTER
관람객의 눈에 이 작품은 추상 조각품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작가 콘스탄틴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si)는 자신의 작품은 주제 내면의 본질을 드러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아프리카 조각과 루마니아 민속 조각 전통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의 본질적인 요소를 추구했습니다. 브랑쿠시는 공간의 새(Bird in Space) 연작을 그의 대표작으로 남을 앙상블로 생각하면서 수년간 제작에 임했습니다. 다른 조각가들과 달리, 브랑쿠시는 대형 작업장이 없고, 혼자서 소재를 준비하고 작품을 제작했으며, 이 작품의 경우에는 직접 석재를 깎고 황동을 연마했습니다.
Bird in Space (Korean) -
Audio Tour Stop 19
Tableau No. IV; Lozenge Composition with Red, Gray, Blue, Yellow, and Black, Piet Mondrian
NGA, East Building, EU-415-C, W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은 추상 회화를 통해 보편적인 조화가 자연을 주재한다는 영적 개념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그의 작품에서 균형 잡힌 비대칭을 조성하기 위해 신중하게 배치된 수평 및 수직 요소는 자연계에서 동적인 평형을 유지하는 상반되는 힘을 나타냅니다. 몬드리안은 다이아몬드형 구성이 절단과 관련된다고 말했는데, 실제로 이 회화에서는 불필요한 부분을 화면에서 절단하는 크로핑 느낌이 강조되었습니다. 캔버스의 가장자리에 의해 절단되어 불완전한 형태는 회화의 실제 경계 너머로 그 절단된 형태가 연장됨을 암시합니다.
Tableau No. IV; Lozenge Composition with Red, Gray, Blue, Yellow, and Black (Korean) -
Audio Tour Stop 20
Façades d'immeubles (Building Façades), Jean Dubuffet
NGA, East Building, EU-407-A, N
제2차 세계대전 후 회화가 처음부터 다시 시작되어야한다고 생각하던 장 뒤뷔페(Jean Dubuffet)는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미술, 특히 어린이 또는 독학 미술가들로부터 영감을 얻어, 작품을 수집하고 이를 아르 브뤼(art brut), 즉, 다듬지 않은 미술 또는 날 것 그대로의 미술이라고 지칭했습니다. 건물 정면(Façades d’immeubles)에서, 뒤뷔페는 자신만의 아르 브뤼를 보여 주었습니다. 뒤뷔페는 미술 시간에 배웠던 기법인 착색된 바탕에 흑색 물감을 칠한 후 긁어 내는 기법을 사용하여 어린이의 눈으로 본 파리의 거리 풍경을 자세히 묘사했습니다. 그러나 신중하게 구성된 격자 구도와 인상적인 유화 벽의 전면(allover) 구조는 뒤뷔페가 모더니즘 미학에 대해 잘 알고 있었음을 입증합니다
Façades d'immeubles (Building Façades) (Korean) -
Audio Tour Stop 22
Number 1, 1950 (Lavender Mist), Jackson Pollock
NGA, East Building, EU-407-B, W
잭슨 폴록(Jackson Pollock)의 드립 회화 대작은 1948년 발표 당시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이 회화를 제작하기 위해, 폴록은 화실로 쓰던 헛간 바닥에 대형 캔버스를 펼쳤는데, 그 공간을 거의 덮었습니다. 캔버스 주위를 걸어 다니면서 가정용 페인트, 유화, 에나멜, 알루미늄 페인트를 사용하여 만든 물감을 브러시와 스틱에 묻혀 드립하고 붓고 뿌렸습니다. 그는 이렇게 창작 과정에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작품 안에 존재하는 방식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캔버스 상단 왼쪽 모서리와 상단의 손자국으로 회화에 “사인”을 했습니다.
Number 1, 1950 (Lavender Mist) (Korean) -
Audio Tour Stop 25
Look Mickey, Roy Lichtenstein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이 대중 문화에 등장하는 장면과 양식을 번안한 최초의 작품이 미키, 이것 좀 봐(Look Mickey)일 수 있으며, 이 작품은 1960년 시판된 어린이 만화책 도널드 덕: 분실물 보관소(Donald Duck: Lost and Found)를 번안하였습니다. 리히텐슈타인은 절묘하게 원본 만화의 배경 인물을 생략하고 시점을 90도 회전시키고 색상을 노란색과 파란색 띠로 구성하고 캐릭터의 특징을 단순화하여 보다 통일된 이미지로 바꿨습니다. 양식적으로, 리히텐슈타인은 인쇄 매체, 즉 짙은 검은 색 외곽선, 원색, 당시 저렴한 만화책과 잡지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었고 이 작품에서 도널드의 눈과 미키의 얼굴에서 사용된 벤데이 인쇄 공정의 잉크 점 등을 모방했습니다.
Look Mickey (Korean) -
Audio Tour Stop 27
Test Piece for "Contingent", Eva Hesse
에바 헤세(Eva Hesse)는 전통적으로 아름다운 조각으로 간주하는 것을 제작하고 싶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금속이나 석재와 같은 조각에 사용되는 전통 소재를 거부하고 대신 섬유, 석고, 라텍스 등 더 유연한 소재를 선호하며, 이 습작에서는 라텍스를 사용했습니다. 이 작품은 불확정 최종 작품에 대한 여러 습작 중 하나였으며, 8장의 유사한 배너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호주 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Australia)에서 전시 중입니다. 헤세는 이 작품을 “회화도 아니고, 조각도 아니고.... 실제로 걸려있는 회화예요”라고 묘사했습니다.
Test Piece for "Contingent" (Korean) -
Audio Tour Stop 29
First Station, Barnett Newman
NGA, East Building, ET-615-B, W
추상 표현주의 운동의 대표적 작가 중 한 명인 바네트 뉴만(Barnett Newman)은 회화, 조각, 문학 분야에서 생각을 펼친 지식인이었습니다. 1940년대 중반 그는 캔버스의 단색 필드에 특징적인 수직 요소 또는 "지퍼"를 그려넣은 작품을 처음으로 선보였습니다. 이 회화는 뉴만이 십자가의 길(The Stations of the Cross)이라고 명명하게 되는 회화 14 연작 중 첫 번째 작품입니다. 15번째 회화 Be II는 종결부입니다. 십자가의 길은 제2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 이후 예술가들이 직면한 “도덕적 위기”를 표현하려는 뉴만의 가장 야심찬 시도였습니다. 그는 묻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그려야 합니까?"
First Station (Korean)